본문 바로가기

창간까지

2007년 2월 6일 MBC PD수첩 - 삼성공화국, 언론은 침묵하라?




삼성공화국, 언론은 침묵하라?

지난 2일, 태평로 삼성본관 앞에서 시사저널 기자 및 언론노조관계자들의 기자회견이 있었다. 1989년 창간 후 17년 넘게 독립신문을 자처하며 취재의 성역이 없음을 증명해 온 시사저널 기자들. 그들이 졸지에 취재 대상이 되어버린 것이다.

기자와 경영진 간의 갈등으로 기자 파업, 직장 폐쇄 등의 분규를 겪고 있는 시사저널 사태를 PD수첩이 취재했다.


시사저널 사태, 무슨 일이 있었나

"한국 언론이 자본의 포로가 됐다는 것을 확인해 주는 사건이다 - <시사저널> 고재열 기자"

2006년 6월, 시사저널 금창태 사장은 삼성 이학수 부회장을 다룬 ‘2인자 이학수의 힘, 너무 세졌다’라는 기사를 편집국장과 상의 없이 인쇄단계에서 삭제했다. 이 사건으로 촉발된 경영진과 기자들 간의 갈등은 8개월째를 맞는 현재까지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기사에 하자가 있어서 삭제를 지시했다는 금창태 사장과 본인이 작성한 기사 내용에 문제가 없음을 주장하는 이철현 기자. 또 기사삭제에 항의하여 사표를 낸 이윤삼 편집국장과 이 사태의 불씨를 제공한 삼성 홍보실 관계자의 진술. 이철현 기자의 손을 떠난 기사가 이튿날 새벽 인쇄소에서 사라지기까지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인가?


▶ 시사저널은 계속되어야 한다 (시사저널 경영진) VS '짝퉁' 시사저널을 고발 합니다 (시사저널 기자)

기자들의 파업과 초유의 직장폐쇄 속에서도 시사저널은 여전히 발행되고 있다. 금창태 사장은 전․현직 중앙일보 및 삼성 관계자들을 비상근 편집위원으로 대거 위촉했고, 이들이 파업 중인 기자들을 대신해 시사저널을 제작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정치권에 몸 담았던 사람이 정치기사를 쓰고, 외신을 그대로 번역해서 기사를 만들고도 출처는 밝히지 않아 논란이 제기되는 등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심지어 단행본에 실린 내용을 고스란히 옮겨놓은 기사도 있다. 이렇게 급조된 시사저널을 두고 한 시사저널 기자는 이른바 ‘짝퉁’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다.

삼성의 공격적인 대언론 로비에서 불거진 시사저널 사태. 이것은 정치권력이 아니라 자본권력으로부터 위협당하는 대한민국 언론의 현주소를 보여주고 있다.


▶ 대한민국 언론, 눈감고 귀 막고 입을 닫아라!

지난 1월 19일. 삼성의 치밀한 사전봉쇄로 좀처럼 시위 구경을 할 수 없었던 삼성본관 앞에서 삼성에스원 계약직 노동자들의 집회가 있었다. 보기 드문 기사거리의 등장으로 여러 매체가 취재했지만, 정작 보도한 일간지는 2~3개에 불과했다. 그나마 본질은 감춰진 채 흥미 위주의 내용이 고작이었고, 한 신문의 경우 가판까지는 실려있던 큼지막한 시위 사진이 배달 판에서는 감쪽같이 사라지는 일까지 벌어졌다. 이것이 대한민국 언론에서 행해지는 '삼성'보도의 단면이다.

'광고로 길들이거나 법으로 다스리거나'

대한민국 언론 중 삼성으로부터 자유로운 곳이 있을까. 삼성으로 대표되는 재벌 광고주의 광고 때문에 기사가 빠지거나, 기사 때문에 광고가 빠지는 일은 대한민국 언론 어디에서나 종종 벌어지는 일이다. 광고수주를 위해 편집국과 광고국간에 암묵적인 타협이 이루어지고, 신념과 양심보다는 ‘목구멍이 포도청’이라는 가치가 우선시되는 대한민국 언론. 그 속에 몸담고 있는 일선 기자들과 광고국 직원들의 내밀한 고백을 PD수첩이 직접 들어봤다.

2005년 7월, MBC 이상호 기자가 안기부 도청 파일을 입수하면서 시작된 'X파일 사건'. 사건의 핵심인 삼성의 불법정치자금 제공이라는 주제는 삼성의 치밀한 대언론 로비에 의해 흐려지고, 도청의 불법성 여부만이 대부분의 언론에서 쟁점사항이 돼 버렸었다. 광고와 소송위협을 무기로 언론을 순치시킨 결과였다.

‘삼성공화국’ 대한민국 언론은 스스로 침묵해야 하는가.

최근 현직 기자 3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 편집권 독립에 가장 위협적인 세력은 '대기업 등 광고주'라는 대답이 88.3%(중복응답)로 최상위를 차지했다. 자본 권력 앞에 자유로울 수 없는 대한민국 언론의 실태를 진단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