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거리편집국

시사IN 기자들이 다시 거리편집국을 차린 이유

오늘 아침 전체 기획회의 시간의 일입니다.

갑자기 신입기자들(박근형 변진경 천관율)이 A4 한 장짜리 기획서를 내밀었습니다. 촛불집회 현장 중계를 하겠다는 것이었습니다.

모두들 뜨악한 표정으로 그들을 쳐다보았습니다.

<시사IN>은 시사주간지입니다. 일주일에 한 번 나오고, 잡지입니다. 당연히 중계 장비도 없습니다. 그런데 현장 중계를 하겠다는 것입니다.

 비유하자면, 시사IN과 집회 현장중계의 관계는 마돈나와 순결의 관계만큼, 이명박 대통령과 겸손만큼 거리가 멉니다. 그런데 이제 갓 수습을 뗀 신입기자들이 중계를 하자고 덤비는 겁니다.

그들이 왜 그런 생각을 했는지, 선배들은 잘 알고 있었습니다.

매일 시위 현장을 취재하던 그들은 시시각각 급박하게 돌아가는 현장상황을 담아내기에는 주간지라는 매체 형식이 얼마나 한계가 명확한지 절감했을 것입니다.

다음 주에, 독자가 읽는 순간에도 여전히 뉴스가 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뉴스’를 써야 한다는 것이 바로 주간지 기자의 어려움입니다.

 저는 아예 거리편집국을 차리자고 제안했습니다.

촛불집회 현장에 베이스캠프를 차리고 국민들을 만나서 그들의 이야기를 직접 듣고 잘 정리해 이명박 대통령에게 전달해 주자고, 그래서 생각을 고쳐먹게 만들자고 했습니다.

거리로 나가자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였습니다.
이런 시기에 기자들이 편집국에만 앉아있다는 것은 국민들에게 너무 미안한 일 아니냐? 는 것과, 1인 미디어 시대에 시민기자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우리도 거리에서 그들과 직접 경쟁해야 된다는 것과, 마지막으로, 고향으로 돌아가자는 것이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랬습니다.

시사저널 파업 이후, 우리들의 고향은 거리였습니다.
시사저널 사무실 앞거리
프레스센터 언론노조 회의실
용산의 후미진 건물 낡은 방
방송회관 방송노조 사무실
북아현동 심상기 회장 집 앞 골목,

우리를 받아주는 것이면 아무 곳이나 고개를 들이밀었습니다.
‘신발보다도 더 자주 사무실을 바꾸면서’ 파업과 창간을 견뎠습니다.

초심으로 돌아가기 위해서, 우리는 거리로 돌아왔습니다.

시사저널 파업과 직장폐쇄, 결별, 그리고 시사IN 창간에 성원해주셨던 열혈 독자들이 왠지 거리에 나와 있을 것 같아 그분들을 다시 만나기 위해서도 나가야 한다고 했습니다.

우리의 사연을 듣고 격려하고 성금을 보내고 정기구독을 해주었던 그들이, 촛불집회에도 나와 있을 것 같았습니다.

문정우 편집국장이 결단을 내렸습니다. 주진우 기자가 현장 상황실장을 맡았습니다. 그리고 몇 시간 후, 청계광장(괴상한 조형물 때문에 소라광장이라고도 불리죠) 한켠에 거리편집국이 꾸려졌습니다.

첫날은 준비가 너무나 부족했고, 비도 많이 와서 그냥 시스템 점검한 것 정도로 만족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화요일엔 많은 독자를, 많은 시민을 만날 수 있기를 바랍니다.

 혹 어떤 분이, 촛불집회 덕분에 한겨레신문과 경향신문 정기구독자가 는다니까 시사IN도 덕 좀 보려는 것 아니냐? 숟가락 얹는 것 아니냐? 라고 말하시면, 아니라고는 말 못합니다.

정기구독은 꾸준히 늘어나고 있지만 광고주들이 광고를 주지 않아, 시사IN은 ‘안정적인 적자구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독립언론’의 길은 험난합니다.
그래서 살아보려고 이렇게 발버둥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도 나왔습니다.

이야기가 더 길지만…….
나머지 이야기는 현장에서 촛불을 마주 들고 나누도록 하지요…….